안녕하세요 건강한 투자자 부반 입니다.
부에~반하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민법상 어른이 되는 나이는 만 19세 이상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민법상 책임과 의무가 주어지는 나이를 말하는데요
만 19세부터 20대초반 20대중반 까지는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직장 신입사원으로 시작해 이제 막 자리를 잡아가는 시기이기 때문에
신용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을 겁니다.
그러나 젊었을 때부터 신용점수 신용등급을 관리하지 않으면
정말 돈이 필요할 때, 신용카드가 필요할 때 도움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신용등급 신용점수는 중요하지 않다고 간과할 수 있지만
필요한 순간만큼은 그 힘, 위력이 대단하다는 것 아셨으면 좋겠다는 마음에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신용등급은 왜 중요할까?
현재 내 수중에 돈이 없는데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 은행을 통해 대출을 받게 되죠
그리고 결혼하게되면 집을 마련해야하는데 대한민국에서 내집마련할 때 대출 없이
현금만으로 집을 살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자녀가 결혼할 때 결혼비용을 부모가 지원해주게 되는데 돈을 모아놓지 못한 부모는
은행이나 지인에게 돈을 빌리게 되죠
그러나 은행은 아무에게나 돈을 빌려주지 않죠
지인도 아는 사람이라고 그 사람의 소중한 돈을 그냥 빌려주지 않죠
신용이 좋으면 대출을 쉽게 받을 수 있고
이율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다!
예를들어, 신용점수나 신용등급이 좋다면 내가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1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겠죠
1금융권에서 대출을 받는다는건 대출이자를 연 2%대로 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뜻입니다
만약, 신용점수와 신용등급이 좋지 않다면 제2금융권(신x, 농x 등 )에서 대출을 받게 될 것이고
점수와 등급이 더 좋지 않다면 제3금융권(OO저축은행 등)
그보다 더 심각하면 사채업자에게 빌려야 될 상황까지 올 수 있습니다.
대출이자가 5%, 10%, 그 이상이 될 수 있다는 뜻이죠
1000만원을 빌렸을 경우 신용이 좋은 분들은 연 이자가 2%라면 1년 이자 20만원만 내면 되죠
그러나 신용이 좋지 않은 분들은 연 이자가 10% 라면 1년 이자 100만원으로
80만원이 차이가 발생합니다. 엄청나죠?
2018년2월28일부터 법정 최고 이자율 연24%
이를 초과한 이자는 지급의무 없습닙다
신용등급은 몇단계까지 있을까요?
신용등급은 총 10단계까지 있습니다.
1~2등급 |
최우량 |
3~4등급 |
우량 |
5~6등급 |
일반 |
7~8등급 |
주의 |
9~10등급 |
위험 |
현재는 신용등급이 신용점수로 바뀌었으니 참고해주셔도 됩니다
신용등급에서 신용점수로 바뀐 이유는
대출받을 때 점수가 단 1점차이로 등급이 하락해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5개 시중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KB국민은행, 농협) 은 신용점수제도를 시행중이고
2020년내에는 모든 금융권에서 신용점수제도를 적용 예정입니다.
신용점수는 1점~1000점으로 계산이 됩니다
신용등급 |
마이크레딧(NICE) |
올크레딧(KCB) |
1등급 |
1000~900 |
1000~942 |
2등급 |
899~870 |
941~891 |
3등급 |
869~840 |
890~832 |
4등급 |
839~805 |
831~768 |
5등급 |
804~750 |
767~698 |
6등급 |
749~665 |
697~630 |
7등급 |
664~600 |
629~530 |
8등급 |
599~515 |
529~454 |
9등급 |
514~445 |
453~335 |
10등급 |
440~0 |
334~0 |
신용점수는 어떻게 관리해야 올라갈까?
과거에는 신용정보를 자주 조회하면 점수나 등급이 떨어진다고 했지만
현재는 신용정보 신용점수 조회를 자주 하더라도 신용점수에 영향이 없으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그러므로 신용정보 조회는 꾸준히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의 신용점수를 수시로 확인해서 꾸준히 관리하는 습관을 먼저 길들여 주세요
신용카드, 체크카드 정말 잘 쓰셔야 합니다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사용할 때 이 3가지를 꼭 기억해주세요
1. 카드 한도의 30~35% 정도로만 사용 합니다
2. 카드를 꾸준히 사용 합니다
3. 카드 한도는 클수록 좋습니다
카드한도만큼 쓰는데 왜 30~35%정도만 사용해야하는지 의아해하실분이 계실겁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했는데요
반대로 카드사 입장에서 생각해보시면
카드 한도가 100만원인데 매월 100만원 한도를 꽉꽉 채워서 사용하신다면
카드사에서는 이 사람의 소비습관이 높구나라고 생각할겁니다
하..이사람 매달 한도를 꽉 채워쓰네..
이러다..한도초과됐는데도 계속 카드를 쓰는걸 보면?
이사람 연체하는거 아냐? 하며 불안해할겁니다
그리고 연체는 당연히 없어야 하겠죠, 연체없이 오랫동안 30~35% 적당한 선에서
카드를 잘 사용하고 잘 갚아 나가셨다면 신용점수를 빨리 올릴 수 있답니다^^
꿀팁 Tip 마이너스 통장이 있다면, 한도 금액의 40~50% 이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현재 나의 신용점수가 좋아서 1금용권에서 대출이 가능한데도 제2금융권에서
대출받을 필요는 없겠죠?
과거에는 제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을 경우 신용등급 점수에 영향을 주었으나
현재는 제2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는다고해서 신용점수가 떨어지진 않습니다
그러나 대출받은 금리는 신용평가에 반영되기 때문에
제1금융권이 대출이자 대출금리가 더 낮을텐데 궂이 제2금융권에서 받을 필요는 없겠죠?
대출을 상환하고 있고 대출이 여러개라면 오래된 대출부터 상환하는것이 좋습니다.
만약 대출 기간이 동일하다면 대출 금액이 많은것 대출금액이 큰것부터
상환하는것이 더 유리합니다
대출 상환과 적금 중 고민을 하고 계시다면
무조건!!!!!!!!!!!!!!!!!!!!!!!!!
대출부터 갚은 다음 적금을 가입하는것이 신용평가 신용점수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꿀팁 Tip 햇살론, 새희망홀씨, 미소금융, 바꿔드림론 등 서민금융 대출을 받았다면 성실하게 상환을 하고 상환하고있다는 것을 강력하게 어필을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어디에요? 신용평가사와 은행 이죠 |
오늘 칼럼 신용점수 올리기 신용등급 올리는 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나왔습니다
대출금액이 소액이라고 신경을 안쓰거나
대출기간이 한달 두달 단기라고해서 한달 연체해도 되겠지라는 생각은 금물!!!!!!!
그리고 관리비, 통신요금 등 요금도 연체가 장기간 되면 신용에 위험요소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연체를 갚았다고해서 신용점수가 바로 올라가지 않는답니다
연체로 인해서 떨어진 내 신용점수...올리기 위해서는
굉장히 시간이 필요하다는거 잊지 마세요!
아래 표는 2020년부터 적용되는 연체 기준입니다.
구분 |
기존 |
변경 |
단기연체 기준 |
10만원 5일 이상 |
30만원 30일 이상 |
장기연체 기준 |
50만원 30개월 이상 |
100만원 3개월 이상 |
위 표대로 연체가 있다면
금액이 큰 연체금보다 오래된 연체부터 갚으셔야 하구요~
공공요금은 절대!!
연체하시면 안됩니다~
꿀팁 Tip 통신요금, 세금, 건강보험료, 관리비 등 공공요금을 6개월 이상 연체없이 납부하여 납부내역을 신용평가회사에 제출하면 성실납부 가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갸꿀
추가로 신용점수를 올릴 수 있는 방법 중
신용평가사에 경제활동을 제출 하는 것이 있습니다.
카카오뱅크에서는 신용점수 올리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간편하게 서류를 제출 하고 경제활동이 인정되면 실시간으로 신용점수를 올릴 수 있답니다
꼭 한번 해보세요~~
이상 칼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내용이 도움되셨다면
구독, 공감, 알림, 댓글 남겨주시면
저에게 아주 큰 힘이 됩니다^_^
'★부반_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 매일 1억원에 버금가는 것을 주는 이것은? (0) | 2020.04.08 |
---|---|
프랜시스 베이컨 그리스신화 명언 삶에서 버려야할 것들 (0) | 2020.04.07 |
[오늘의 명언] 노란 목도리 흰 담비 톨스토이 대표작 명언 (0) | 2020.04.03 |
아내가 치매에 걸려도 나는 아내를 사랑합니다(치매예방, 치매예방퀴즈, 치매안심센터, 중앙치매센터) (0) | 2020.03.31 |
오늘의 명언으로 배우는 연목구어 사자성어를 거스르는 등목어 이야기 (맹자 명언) (0) | 2020.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