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한투자를 추구하는 경제적자유인 부반입니다
부에 반하다^^
뉴욕증시가 휘청거리고 있습니다
부의 체인저 1
남아 있던 단점까지 극복한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투자서!조던 김장섭의 이전 책 『내일의 부』(전2권)는 독자들로부터 열광적인 환호와 큰 사랑을 받았다. 2020년 3월 코로나 위기로 전세계 증시
book.naver.com
부의 체인저 2
남아 있던 단점까지 극복한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투자서!조던 김장섭의 이전 책 『내일의 부』(전2권)는 독자들로부터 열광적인 환호와 큰 사랑을 받았다. 2020년 3월 코로나 위기로 전세계 증시
book.naver.com
조던 김장섭 저자님이 출간한 부의 체인저를 읽어보면
최근 한달 내 나스닥 지수가 -3% 이상 급락하는 상황이 4번 이상 나오면
공황이 발생할 확률이 굉장히 높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주식을 모두 매도하고 현금 보유하거나 안전자산으로 갈아타는 전략을 추천하는데요
추가적으로 말뚝박기라고해서 나스닥 주가가 -5%, -10% 등 하락했을 때
가지고 있는 현금의 10%, 20% 등 소량 분할 매수 하는 전략을 써가면서
공황에 대비하는 원칙에 대해 담고 있습니다

나스닥 지수
6월 13일 -4.68%
6월 10일 -3.52%
5월 18일 -4.73%
5월 11일 -3.18%
5월 9일 -4.29%
5월 5일 -4.99%
로 이미 5월에만 네차례 -3% 이상 급락이 발생하였습니다
견고하기로 소문난 S&P 500 지수 또한 전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여
이미 공황은 왔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율이
무려 40여 년 만에 최대폭인 8.6% 상승한 것을 계기로
물가인상 곧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금리인상은 필수일 수 밖에 없고
FOMC 연준의 매파 성향이 짙어지면서
빅스텝이 아닌 한번에 0.75% 를 금리인상하는 자이언스트엡을 예고하면서
주가 하락을 더욱 부채질하였습니다

미국 연준의 고강도 금리인상 전망으로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3.35%로
하루만에 20bp 급등하는 모습까지 보여주었는데
이는 2020년 3월 이후 최대폭 상승을 기록하였습니다
이처럼 그동안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저금리의 끝을 보이면서
금리인상 시기에 손실 줄이는 올바른 투자처 3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한국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1.75%까지 인상 시켜
물가상승률에 선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소비자물가지수는 22년 5월 기준 전월대비 5.4% 상승으로
미국보다는 낮은 수치의 물가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금리인상이 되면 물가는 잡히겠지만 가장 큰 문제는 대출금리 인상으로
가계와 기업에 심각한 부담이 증가되는 것인데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시작으로 미국과 중국의 패권전쟁까지
인플레이션 쇼크가 전세계 금융시장을 강타하고 있습니다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형 대출 금리가 7%대를 예상하고 있어
과거 2~3%대 였던 저금리에 비해 2배 이상 가까이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10억을 빌릴 경우 이자부담이 연 3,000만원에서 7,000만원으로
4천만원 이상 이자부담이 증가했다는 뜻인데요
요즘엔 개인이 서울에서 아파트 한 채 구입하려고 해도 10억이 훌쩍 넘어가니
주택담보대출도 1~2억 빌리지 않고 최소 5억이상 빌리게 될 것입니다
대기업 임원이 아니라면 연봉도 4~5천 내외일텐데
이자부담만 1~2천만원이 증가하면 가계소비여력은 줄어들 것이고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배경에는 러시아 경제 제재조치로 인한 유가상승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인한 밀 등 곡물 수출의 어려움으로
각 종 곡물가격의 인상까지 겹쳐 하이퍼인플레이션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국석유공사가 공유한 전국 평균 휘발류 가격도 2073.40원으로 정부에서는 유류세를 30% 인하 단행을 했지만 6월 들어 단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일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강남의 한 주유소는 휘발유 가격이 2968원으로 곧 3,000원까지 돌파할 기세입니다

코인투자도 이 공황을 벗어나긴 힘들어 보입니다
6월13일 기준 비트코인이 15% 폭락해 2만4천달러가 붕괴되었습니다
무려 2020년 12월 이후 18개월 만인데요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높게 나오면서
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얼어붙었고
여기에 금리인상 이슈까지 덥쳐 암호화폐 투자 열기에 찬물을 끼얹게 되는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14일 12시 기준 비트코인은 한화 2800만원 아래로 떨어진 상태이고
전일 대비 5%가까리 하락중입니다
알트코인의 대표주자인 이더리움 또한 전일대비 9% 가까이 하락한
144만원대에 거래중이구요

물가인상과 금리인상 시기에는 부동산, 주식, 코인 투자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며
나스닥 지수가 조던 김장섭 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한달 내 -3% 폭락이
5월에 무려 4번 발생하였고 6월에도 이미 두 차례 발생한 바 경제대공황까지 올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이렇듯 인플레이션으로 물가인상과 금리인상 시기
손실을 줄이는 올바른 투자처 중 첫번째는
바로 미국 주식 시장을 배제할 수 없고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시기 배당주는 아주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수 있습니다

고배당주는 통상 초과 수익을 내는 기업들이고
배당을 하는 기업들은 자산 건전성이 우수한 기업이기 때문에
공황이 오더라도 버틸만한 팬더멘탈을 가지고 있어 수혜가 예상됩니다
배당 수익률이 평균 이상인 종목은 모간스탠리, JP모간, 포드, UPS, IBM, 인텔, 브로드컴, 워렌버핏이 투자한 HP 등이 있습니다

금리인상이 주가와 채권가격을 모두 끌어내리는 경우
채권가격 하락에 배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연준의 금리인상이 빅스탭이 예고되어있기 때문에 국채 가격은
이자율과 반대로 움직이기때문에 하락하게 됩니다
국채가격의 하락에 배팅하는 TBT가 우상향의 꼬리를 올리고 있는데요
BTX는 미국채 10년물 금리를 추종하는 인덱스이고 SYP는 S&P 500 입니다

과거론적이지만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연준이 17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1%에서 5.25% 인상했을때
가장 많이 오른 투자처는 주식이 아니라 바로 리츠 였습니다
부동산에 투자하는 리츠가 2004년~2006년 동안 무려 77.9%가 상승하였는데요
이것도 국내리츠가 아닌 미국리츠 상품에 투자하는게 올바른 투자방법입니다

미국은 아직 주택공급보다 수요가 더 많은 상황이므로
투자에 대한 매력이 아직 남아있고
금리인상기 위험자산보다는 안전자산에 투자하는것이 올바른 투자인만큼
금, 현금, 예/적금, 부동산이 상대적으로 하락에 대한 리스크가 적기에
안정적인 투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모든 부동산 관련 ETF인 리츠는 수입의 90%를 세금헤택 등을 위해
배당금으로 주주들에게 환원하기 때문에 투자시 배당금까지 받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는데요
1. Nuveen Short-Term REIT ETF(NURE)
2. iShares Residential and Multisector Real Estate ETF(REZ)
3. Invesco S&P500 Equal Weight Real Estate ETF(EWRE)
를 대표적으로 둘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플레이션 물가인상과 금리인상 시기
손실 줄이는 올바른 투자처
첫번째 고배당주 투자
두번째 채권가격 하락에 배팅하는 TBT
세번째 미국 리츠 투자를 알아보았습니다
이상 마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반_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는 빚 잔치 중 늘어난 유동성에 내 자산은 늘지 않는 이유 (0) | 2022.06.29 |
---|---|
투잡추천 쉽게 하는 주부부업 공동구매플랫폼 소싱박스 (0) | 2022.06.14 |
주식투자 잘하려면 엘리어트파동이론 김중근 주식인강 추천 (0) | 2022.05.22 |
존버가 답일까? 올바른 주식투자 방법 바로알기 (1) | 2022.05.22 |
최소3배 이상 갈 종목 추천 에이루트, 큐로홀딩스는 매도 (0) | 2022.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