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반_투자

세계는 빚 잔치 중 늘어난 유동성에 내 자산은 늘지 않는 이유

by 부반 2022. 6. 29.

안녕하세요 건강한투자를 추구하는 경제적자유인 부반입니다

부에 반하다^^

경제학 용어로 유동성이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기업의 자산을 필요한 시기에 손실 없이 화폐로 바꿀 수 있는 안전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인데요

유동성이 늘어난다는 건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린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유동성이 줄어든다는 건 시중에 돈이 줄고 있다. 돈이 회수되고 있다 정도로 해석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나라와 세계는 유동성이 풍부할까요 부족할까요?

2018년 금리인상 진행 중 긴축 발작으로 인해 다시 제로금리를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왜 그런지는 다들 알고 계시죠?

경제 회복이 지연되는 와중에 2020년 1월 코로나로 인해 팬데믹이 발생하였고

전 세계 대량 실업자가 발생되면서 기업의 부도와 함께 경기 침체가 깊어지자 미국 연준은 3조 달러가 넘는

M1 통화 확장으로 대차대조표 8.8조 달러까지 통화량을 늘렸습니다

쉽게 돈을 더 많이 찍어냈다는 것이죠

여기서 말하는 M1 통화는 일반적으로 현금 및 요구불예금만을 포함하는 협의의 통화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당장 사용할 수 있는 돈이 얼마나 있냐를 뜻합니다

M2 통화도 있는데 이건 M1 통화 + 적금이나 MMF 등 좀 귀찮지만 수 일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돈을 포함하는 살짝 넓은 의미의 통화입니다

97년 IMF 외환위기 시기 알짜 부동산이 경매로 정말 많이 나왔습니다

잘 운영되던 사업도 갑자기 망하던 시기가 바로 이때였는데 이유는 유동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죠

이 당시 이율이 20%대까지 치솟자 사람들은 은행으로 돈이 몰리고 대출을 받은 개인/기업들은

높은 이자 감당이 어려워 사업이 망하거나 이자를 갚지 못해 가지고 있는 재산이 경매로 나오는 등

자산 축소 = 돈이 줄어든다 = 유동성이 줄어들게 됩니다

한국은행 데이터 기준

97년 한국의 M1 통화는 117조 원이었으나 2021년 1281조 원으로 10배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M2통화도 97년 482조원에서 21년 3430조로 8배 상 증가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 돈은 다 어디서 왔을까요?

답은 정부로부터 옵니다

유동성은 크게 주류 경제학과 현대 통화 이론(MMT)로 나누어지는데

통화량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이 되고 정부에서 돈이 모자라면 돈을 더 많이 찍어내거나 국채를 발행하게 됩니다

경제가 좋지 않으면 정부는 돈을 풀어 위기에 대응하고 경제가 좋으면 긴축재정을 시작하며

풀었던 돈을 다시 회수하죠

근데 결국 돈을 찍어내고 국채를 발행하는 것도 빚이라는 겁니다

미국은 기축통화인 달러가 있어 돈을 계속 찍어내고 국채를 발행해도

전 세계에서 화폐의 가치를 인정받는 달러가 있기 때문에 패권국으로서 부도가 날 가능성이 크진 않습니다

단, 신흥국 같은 경우 돈을 아무리 많이 찍어낸 듯 다른 나라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돈이라면

종이 쪼가리에 불과해 괜히 유동성만 늘려 화폐가치만 떨어뜨리는 꼴이 되어

경제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미 세계의 부채는 코로나19로 인해 약 31경 224조 원이 증가되었습니다

20년 부채 증가율이 35%에 달했는데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때에도 부채 증가율은 15% 정도였다는 걸 감안하면

엄청난 증가율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렇게 세계는 현재 빚 잔치 중으로 유동성은 늘어나고 부채 또한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있는데

왜 내 자산은 불지 않는가 참 이상합니다

저도 직장인이면서 투자자이지만 특히 직장인들이 월급을 아끼고 아껴도 자산이 늘지 않는 이유는

사람들은 돈이 삶의 질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마치 한국은행에서 돈을 찍어 내는 것 마냥 일하면 다음 달에 또 월급 들어오니

좋은 음식을 먹고 좋은 옷을 입고 하고 싶은 일들을 자유롭게 하기 때문이죠

사림이 돈을 지배해야 하는데 돈이 사람을 지배하게 만드는 삶을 살기 때문인데

돈에 종속된 심리 상태로 돈을 관리하기 때문에 월급만으로 내 자산을 증가시킨다는 건

너무 어렵습니다

월급을 200만 원 받는다면 일부라도 투자해 제2의 월급이 나오는 캐시 플로를 만드셔야 합니다

일명 파이프라인이라고 하는데요

예를 들어 150만 원 지출에

50만 원을 투자해 년 10%의 수익을 낼 수 있다면 1년에 5만 원의 캐시 플로가 생기는 것이죠

1년이면 원금은 600만 원이 되고 10년이면 6000만 원이 됩니다

이렇게 원금과 수익을 늘려가면서 지금 받는 월급 수준 이상의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다면

현재 20대라면 30년 뒤 50대에 직장인 노예로부터 해방하고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단, 조심하셔야 할 것은 공부 없이 준비 없이 투자를 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떡볶이 하나를 만들어 팔아도 사람들의 입맛과 입지, 상권, 가격을 고민해야 하듯이

지금부터라도 꾸준히 공부하고 경험해 보고 잃지 않는 투자를 해야

내 자산이 늘지 않는 이유로부터 해방되어 내 자산이 조금씩 늘어나는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부반스토어 | 박경구 | 서울시 강북구 도봉로98길 33 삼성아파트 101동 209호 | 사업자 등록번호 : 404-33-00710 | TEL : 010-4509-5163 | Mail : paillot18@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19-서울강북-1069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